| |
도내 코로나19 확진자 급증에 따른 특별 방역대책 |
| |
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
| 발생 동향 및 접종률 (2022. 7. 13. 0시) | |
| |
▶ 감염재생산지수(Rt) 증가: (전국) 1.40, (제주) 1.67 ▶ 주간 발생률 연 2주 전국 최고 - 7월 1주: (전국) 40.5명, (제주) 61.0명으로 전국대비 51% 높음 - (학생) 최근 1주간(7.5.~7.11.): (전국) 42.7명, (제주) 114.5명으로 전국대비 168.2% 높음 ▶ 오미크론 하위 변이 BA.5* 검출률 증가 *BA.2 보다 면역 회피성 높음 ◦국내감염 - (전국) (6월 4주) 2.0% → (6월 5주) 7.5% → (7월 1주) 23.7% - (제주) (6월 4주) 0% → (6월 5주) 8.7% → (7월 1주) 26.7% ▶ 예방접종 참여율 둔화: 12~17세(3차) (전국) 10.3% (제주) 10.9% |
마스크 착용 재강조
◉ 마스크 착용 의무
- 학교 교사(校舍) 등 실내 전체
- 50인 이상이 관람(참석)하는 실외 공연·스포츠경기(관람자) 및 실외 집회(참석자)
< 마스크 착용 의무화 예외 인정 대상 > - 뇌병변·발달장애인 등 주변의 도움없이 스스로 마스크를 착용하거나 벗기 어려운 사람, 호흡기질환 등 마스크 착용시 호흡이 어렵다는 의학적 소견을 가진 사람 |
◉ 학교 실외 활동 시 마스크 착용의무 해제
- 학급단위 실외 체육수업, 체육행사, 학교운동부 운영 시
단, 학교의 장은 구성원의 의견을 반영하여 감염 위험이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마스크 착용 가능
- 실외에서 50인 이상이 참석하는 체육대회(경기) 관람자는 마스크 착용 의무
손씻기 및 손소독 강화
발열검사 및 의심증상자 등교(출근) 중지
- 발열검사 실시 강화: 2회 이상(등교 시, 점심 전)
- 건강상태 자가검사 참여 강화 및 의심증상자 등 등교(출근) 중지
- (일과 중) 건강상태 수시 확인 및 의심증상자 진료‧검사 실시 권고
소독 및 환기 강화
- (소독) 개인물품, 공용공간, 통학버스, 기숙사 등 청소·일상소독 강화
- (환기) 교실 등의 창문은 상시개방 *기상상황으로 인한 경우 쉬는 시간마다 수시 개방
- (냉방기) ◦출입문과 창문을 모두 개방한 상태에서 송풍(30분 이상)후 사용
◦바람방향은 천장과 벽으로 설정, 바람세기는 가능한 약하게 사용
외부인 관리
- 방문객 등 교사(校舍) 출입 최소화
- 출입 시 의심증상* 여부 확인 후 방문 허가
* BA.5 주요 증상: 인후통, 발열, 코막힘, 기침, 근육통, 피로감
체험학습에 따른 유의사항 재강조
- 의심증상자 참가 제한(음성 확인 후 참가 가능) 및 참가 전 자가진단검사 권고
- 참가 중 마스크 착용 강화 * 5.23.이후 마스크 착용 해제되었으나 착용 권고
- 참가 후 의심증상 모니터링 실시 등
(확진자) 격리 의무 지속 유지 및 보고 강화
- 유행 가속화 우려에 따른 격리 의무 유지(격리기간: 7일)
- 확진 통보 후 건강상태 자가진단앱을 통한 즉시 보고 안내
학급단위별 교육활동 권장
(학급단위) 원격수업 전환 기준
- 단위학교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상황을 반영하여 탄력적으로 학교에서 결정
학생 생활지도 강화
◉ 학교단위 학생 생활교육 강화
- 다중이용시설(PC방, 노래방, 볼링장 등) 이용 자제 안내
- 방과 후 학교 주변 학생 밀집 지역 및 취약지역 중심으로 합동 교외 생활교육 실시(학교전담경찰관[SPO], MOU 체결 시민단체, 지역 시민단체 협조)
- 학생들끼리의 숙박시설 집단 투숙으로 인한 일탈행위 및 감염병 전파 차단 지도
◉ 관계기관 협력체계 구축으로 학생생활교육 강화
- 지구별학생생활교육지원단 중심으로 학교전담경찰(SPO) 및 학교 밖 폭력예방 시민단체와 합동으로 학교폭력 및 학생 비행 예방․지도를 위한 합동 생활교육 실시
- 학생 밀집 지역 및 취약지역 중심 합동 생활교육 실시로 개인 방역수칙 준수 안내 및 학생 일탈행위 사전 예방
해외 여행(연수)에 따른 조치
- 가급적 자제 및 방문 시 마스크 착용 등 방역수칙 철저 준수
- 입국 후 검사 실시 및 자가건강상태 모니터링 철저
대면회의 최소화 및 참석자가 거리 유지